전체 글 70

[컴퓨터][36]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어셈블리어에서 C언어까지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이전 글을 통해 간단하게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와 컴파일러에 대해 알아보았다. [컴퓨터][35] BIOS에서 운영체제 그리고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과 기능※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산술 논리 연산을 자동화하는 초기의 컴퓨터 설계 목적에 따라8BIT 컴퓨터가 완성된 이후,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core-basic.tistory.com그러면 이어서 이번 글을 통해비교적 초기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C언어는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C언어가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쳐왔으며,어떤 기능을 갖추었기에 오늘날까지유용한 언어로 자리 잡았는지 탐구해 보겠다.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어셈블리..

[컴퓨터][35] BIOS에서 운영체제 그리고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과 기능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산술 논리 연산을 자동화하는 초기의 컴퓨터 설계 목적에 따라8BIT 컴퓨터가 완성된 이후,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와입출력장치(키보드, 모니터)를 도입했다. 이후 컴퓨터는 어떻게 활용되었는가 보았을 때단순 산술 논리 연산 장치를 넘어데이터 저장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BIOS와 운영체제 그리고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왜 BIOS와 운영체제 그리고 고급프로그래밍언어가 필요해졌을까? 그 이유와 함께 이들은 어떠한 기능을 하고, 어떻게 구현되는지BIOS는 다시 한번 더 직관적으로 살펴보고,운영체제와 고급 프로그..

[컴퓨터][34]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들을 통해 파악하였듯이초기의 컴퓨터는 단순히 산술논리 연산을 자동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하지만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다시 활용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메모리 회로가 개발되었다.이는 단순한 계산기 역할을 하던 컴퓨터가점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면서,더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고,파일 시스템과 같은 개념이 등장했다.또한, 다양한 입출력 장치(키보드, 모니터 등)의 도입과 더불어,컴퓨터 간 데이터 공유 시스템(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단순한 연산 기계에서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기 위해,하드웨어와 소프트..

[컴퓨터][33] 비휘발성 저장 장치 - 3 (Solid-State Drive , SSD)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https://www.youtube.com/@BranchEducation SSD 관련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이전 글을 통해서전자기학의 앙페르 법칙과 전자기 유도(페러데이 법칙),그리고 강자성체의 자기화의 원리를 통해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들을 살펴보았다.이를 바탕으로 자기 테이프, 자기, 드럼,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비휘발성 메모리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저장 방식인 CD/CD-ROM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컴퓨터][32] 비휘발성 저장 장치 - 2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DD)※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

[컴퓨터][32] 비휘발성 저장 장치 - 2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DD)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도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ex) CD, HDD, SSD 등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기초적인 전자기학과,비휘발성 저장 장치의 기반이 되는자기 와이어 리코딩:녹음기에 대한 원리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컴퓨터][31] 비휘발성 저장 장치 - 1 : 전자기학 기초 및 자기 와이어 레코딩(magnetic wire recording)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들을 통해 컴퓨터와 어셈블러 그리고입출력장치(I/O):키보드, 모니터를 구현하면서컴퓨터의 원리와 어셈블리어core-basic.tistory.com 이어서, 이번 글을 통해..

[컴퓨터][31] 비휘발성 저장 장치 - 1 (전자기학 기초 및 자기 와이어 레코딩:magnetic wire recording, 녹음기)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들을 통해 컴퓨터와 어셈블러 그리고입출력장치(I/O):키보드, 모니터를 구현하면서컴퓨터의 원리와 어셈블리어의 처리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컴퓨터][30] 입출력(I/O) 장치 : 모니터의 원리※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J. 클라크 스코트, 『그래서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지유록, 인사이트(2019) 책을 참고core-basic.tistory.com 이후, BIOS에 대해 탐구하던 중BIOS는 하드웨어 초기화 작업 및 부팅 작업과기본 I/O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러면서, BIOS 이전에하디드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중요성을..

[컴퓨터][30] 입출력(I/O) 장치 : 모니터의 원리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J. 클라크 스코트, 『그래서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지유록, 인사이트(2019)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글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키보드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었다.키보드의 각 키(문자)는 아스키코드(ASCII CODE)와 같은이진수 코드와 스위치 회로를 대응시켜특정 키를 누르면, 해당 키에 대응되는 아스키코드에 따른전기적 신호(0/1)를 생성되고,이를 메모리 회로에 저장하는 원리를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CPU)와 키보드 사이에 키보드 인터페이스(어댑터)를 설계하여,특정 키를 눌렀을 때 생성되는 이진수 코드/신호를 임시 저장하고,컴퓨터(CPU)가 주기적으로 I/O 명령어를 통해키..

[컴퓨터][29] 입출력(I/O) 장치 : 키보드의 원리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J. 클라크 스코트, 『그래서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지유록, 인사이트(2019)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글들을 통해 8BIT 컴퓨터를 구현하면서 컴퓨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 장치들이어떻게 동작하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스위치와 릴레이 회로를 통해 구현된 컴퓨터 장치들이제공하는 이진수의 집합 : 이진수 코드를 통해 사용자들은 여러 스위치 회로를 열고 닫으며 컴퓨터에게 명령어를 입력하고,같은 원리로 컴퓨터가 명령어를 처리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컴퓨터][27] 컴퓨터 완성 : Non-ALU 명령어 및 플래그 (데이터 명령어 / 분기 명령어 / 직접 분기 명※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

[컴퓨터][28] 초기 어셈블리어와 어셈블러 구현 및 원리 (Assembly language, Assembler)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들을 통해 ALU 명령어와 Non-ALU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았다.그러면서 명령어가 무엇인지, 명령어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그 원리도 파악할 수 있었다. [컴퓨터][27] Non-ALU 명령어 및 플래그 (데이터 명령어 / 분기 명령어 / 직접 분기 명령어 / 조건 분※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J. 클라크 스코트, 『그래서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지유록, 인사이트(2019) 책을 참core-basic.tistory.com※ 2024-12-02 추가적으로 Non-ALU를 포함시키기 위해 새로운 배선 배치도를  창안했으며 그로 인해기본적인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가져..

[컴퓨터][27] 컴퓨터 완성 : Non-ALU 명령어 및 플래그 (데이터 명령어 / 분기 명령어 / 직접 분기 명령어 / 조건 분기 명령어)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J. 클라크 스코트, 『그래서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지유록, 인사이트(2019)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글을 통해ALU(Arithmetic Logic Unit), CU(Contol Unit), RAM(Random Access Memory)의 개념을 재정리하면서 ALU 연산 명령어만 처리할 수 있는컴퓨터(CPU와 RAM)를 logisim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해 보았다. [컴퓨터][26] 산술논리장치, 제어장치, RAM 총정리 및 CPU 구현 (ALU : Arithmetic Logic Unit, CU : Contol Unit, R※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