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

[수학][6]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1권 - 3 (명제 2)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서 유클리드 기하학 1권의 48개의 명제 중 명제 1에 대해 알아보았다.이어서 명제 2에 대해 알아보겠다. 1권 - 2 (명제 1)" data-og-description="※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서, 유클리드 기하학 1권의 구성 중23개의 정의5개의 공리5개의 공준대해 알아보았다.그리고 1권에" data-og-host="core-basic.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core-basic.tistory.com/entry/%EC%88%98%ED%95%995-%EC%9C%A0%ED%81%B4%EB%A6%AC%EB%93%9..

[컴퓨터][0] 컴퓨터란 근본적으로 무엇인가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컴퓨터로 어떻게 문서 작성 및 저장, 검색, 커뮤니티, 메일, 게임, 사진/영상/음악 편집, 프로그램 개발등이 가능할까?컴퓨터는 다양한 부품들이 상호작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다른 부품들을 제어하고 조작하는 복합적인 기계이다.프로그램은 명령어의 집합이다.즉, 컴퓨터는 다양한 부품들을 통해 다양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다른 부품들을 제어하고 조작하는 복합적인 기계이다.명령어는 컴퓨터 부품들을 조작할 수 있는 수단으로,저급 프로그래밍언어, 또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뉠 수 있다.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 물리적 전자 회로에사람의 언어를 대응시킨 명령어 체계이다.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여러줄의저급 명령어들을 하나의 고급 명령어로 추상..

[자유]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목표 유무[有無]의 충돌) - 3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에서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요약하면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고정관념일 수도 있으며,목표 없이 나의 진실한 내면에서 나오는 궁금증들을 풀어가다 보면나도 모르고 있던 목표로 이끌어 줄 수도 있다고 하였다. [자유]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고정관념) - 2※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에서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자유] 목표를 정하는core-basic.tistory.com그렇다면내면의 궁금증을 풀어가다가만약 목표를 파악하게 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즉,목표가 없어야 목표에 갇힌 질문을 하지 않고 내면의 순수한..

카테고리 없음 2024.07.28

[수학][5]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1권 - 2 (명제 1)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서, 유클리드 기하학 1권의 구성 중23개의 정의5개의 공리5개의 공준대해 알아보았다.그리고 1권에만 48개의 명제가 존재하는데 그중첫 번째 명제에 대해 알아보겠다. 1권 - 1 (정의,공리,공준,명제)" data-og-description="※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수학][3]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서※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data-og-host="core-basic.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core-basic.tistory.com/entry/%EC%88%98%ED%95%994..

[자유]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고정관념) - 2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에서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자유]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좋아하는 것 vs 잘하는 것) - 1※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목표를 정하는 이유목표가 직업이 될 수도 있고, 물건이나 상황 등이 될 수도 있다.이때 내가 목표를 정하는 이유는내가core-basic.tistory.com  그래서 무엇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에 대해어쩌면"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고정관념은 아닐까?"이러한 생각이 들게 된 이유는 목표를 정하면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할 때가 발생하고,알고 싶지 않은 것을 알아야 할 때가 생긴다.즉, 쉽게 말해 재미가 없어진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7.26

[수학][4]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1권 - 1 (정의,공리,공준,명제)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서,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간단하게 다시 살펴보면기하학( geometry)이란 토지의 넓이를 측량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이란 유클리드 이전의 학자들이 연구하고 발전시킨 기하학들을재정리하고, 엄밀한 체계를 구축해하며 을 작성하였으며,그것이 유클리드 기하학이 되었다. [수학][3]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서※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수학] 수학, 그래서 무엇을 공부해야하나? 역사와 학문의 종류 탐구 - 1※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core-basic.tistory.com따라서 수학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유클리드 ..

[자유] 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하여(좋아하는 것 vs 잘하는 것) - 1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목표를 정하는 이유목표가 직업이 될 수도 있고, 물건이나 상황 등이 될 수도 있다.이때 내가 목표를 정하는 이유는내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할지 스스로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솔직한 심정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목표의 세분화하나의 목표를 정했다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보다 작고 간단한 목표를 여러 개 정한다.그리고 또 보다 작고 쉬운 목표를 여러 개 정한다.그렇게 목표를 세분화하여 내가 지금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파악하게 되며작은 목표를 하나씩 달성해 나아가며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무엇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1) 내가 좋아하는 것(2) 내가 재능있고 잘하는 것두 부분 ..

카테고리 없음 2024.07.24

[수학][3]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서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이전 글을 통해서, 수학을 공부하는데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그래서 수학의 시작이자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유클리드 기하학부터 시작하여대수학, 정수론, 해석기하학, 지수와 로그의 발명,미적분학, 복소수(2차원) 정립, 선형대수학, 3차원 복소수 등등그리고 이전 학문이 다음 학문을 연결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학] 수학, 그래서 무엇을 공부해야하나? 역사와 학문의 종류 탐구 - 1※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수학] 숫자란 무엇인가, 그리고 존재란 무엇인가 - 0※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core-basic.tistory.com따라서, 역사적 흐..

[수학][2] 수학, 그래서 무엇을 공부해야하나? 역사와 학문의 종류 탐구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수학을 처음부터 공부하는데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숫자란 무엇인가?'였다그래서 이전 글을 통해서 숫자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수학] 숫자란 무엇인가, 그리고 존재란 무엇인가 - 0※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숫자란 ‘수’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이다  그렇다면 '수'는 무엇이고'기호'란 무엇인가'수'란 양(量), 개수, 온도core-basic.tistory.com 세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 추상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합의하여 의미를 가지 시각적 모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즉, 숫자란  '수'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이다.그다음으로 드는 생각은 '이제 무엇..

[수학][1] 숫자란 무엇인가, 그리고 존재란 무엇인가

※ 해당 게시글은 주제를 탐구하면서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 한 글입니다. 숫자란 ‘수’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이다  그렇다면 '수'는 무엇이고'기호'란 무엇인가'수'란 양(量), 개수, 온도, 속도, 길이, 너비, 높이, 넓이, 부피 등 세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추상적 개념이다. '기호'란 사람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합의하여 의미를 가지는 시각적 모양 또는 청각적 소리이다.  따라서 숫자란 세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합의하여 의미를 가지는 시각적 모양이다.  ex) 0, 1, 2, 3, 4, 5, 6, 7, 8, 9 -3, -2, -1, 0, +1, +2, +3½, ⅔, ¾, ⅗, ⅚, ⅜ ...√2, √3, √5 .....